목록부동산공부 (4)
아들에게 물려줄 부동산 지식
이번에는 부동산을 부르는 가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 제목에 써놓은 것처럼 4가지를 우선적으로 알아보자. 먼저, 호가는 매도자가 원하는 가격이야. 터무니없이 비싸도 그저 매도자가 원하는 가격이기 때문에 정해진 범위는 없다는 게 특징이야 두 번째로, 실거래가는 살 사람과 팔 사람의 욕구가 적절하게 맞는 가격이야. 대부분 일정 범위 안에서 형성되어 있어. (참고로, 실거래가는 곧 나올 시세와는 다른 개념이야) 세 번째로, 시세는 최근 거래된 가격의 수준을 말해. 수요가 공급보다 많을 때는 가격이 올라가고, 반대로 공급이 더 많을 때는 가격이 내려가지. 이 시세는 리브부동산이라는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한데, 여기서 KB시세가 등장해. 이 KB시세로 은행에서 대출을 해주지. 이 시세는 동네 중개사무업소를 통해 시..
오늘은 월세와 전세에 대해서 알아보자! (매매와 반전세는 다음에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고..!) 월세와 전세는 부동산을 구입하지 않고 빌려서 거주하는 방식이야. -월세 : 집주인(임대인)에게 주택에 대한 보증금과 월 임대료를 지불하는 방식 -전세 : 월 임대료 없이 보증금만 지불하는 방식 월 임대료는 돌려받지 못하는 돈이고, 보증금은 돌려받는 돈이야. 월 임대료를 내지 않는 전세는 그만큼 보증금 금액이 높겠지? 여기서 궁금한 점이 있을거야. 월 임대료 없이 모두 돌려주는 전세의 방식은 집주인(임대인)에게 어떤 이득이 있을까? 집주인(임대인)은 거액의 보증금으로 은행의 이자수익 혹은 부동산을 사거나 목돈을 활용할 수 있어. 임차인은 보증금을 맡김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득을 포기하는 셈이지. 우리나라에..
오늘은 임대인과 임차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 매수와 매도에 이어 또 생소한 단어가 또 나왔지? 임대인(Landlord)은 부동산의 소유자며, 자신의 부동산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주체야. 임차인으로부터 임대료인 돈을 수령하는 권리와 빌려준 부동산의 유지보수와 수리에 대한 책임이 있어. 또, 임대 계약의 조건을 설정하고 관리하지. 임차인(Tenant)은 부동산을 임대받은 개인 또는 기업이야. 부동산을 임대받음으로써 임대료인 돈을 지불해야 하는 책임이 있고, 임대기간 동안 부동산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어. 또, 임대 계약 조건을 준수해야 하지. 임대인이 무조건 부동산의 소유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소유자가 본인의 부동산을 임대하기 때문에 임대인인 경우가 많아. 이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조..
매수와 매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 아빠는 매수와 매도를 처음 주식을 접했을 때 알게 되었어 사기, 팔기라고 써두지 굳이 매수, 매도라는 단어를 쓰는 게 영 맘에 안 들었단다! 한자로 먼저 알아보자! 매수 - 살 매(買), 거둘 수(收) 매도 - 팔 매(賣), 건널 도(渡) 아직 용어가 와닿지 않을 수 있어. 하지만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단어니 외우려고 말고 등장할 때마다 한 번씩 기억해 보는 걸로 하자. 매수 (Buy): 매수는 어떤 것을 산다는 것을 나타낸단다. 사려는 사람이 가치 있는 것에 대한 보유권을 얻기 위해 돈을 주고 구매하는 행위야. 가치 있는 것을 돈을 주고 사는 거니 그 가치가 더 오르기를 기대할 수도 있겠지? 매도 (Sell): 매도는 보유 중인 어떤 것을 판다는 것을 의미한단다. 팔려..